안녕하세요 에밀리입니다
2019 카카오 신입 공채 알고리즘 문제를 풀고 있는데요
‘실패율’이라는 문제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…
문제 설명
실패율
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.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,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.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.
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.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,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.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.
-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-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/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
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,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.
(전문 : http://tech.kakao.com/2018/09/21/kakao-blind-recruitment-for2019-round-1/)
대략 이런 문제이고 쉽겠구나 하고 파바박 코딩하고 돌렸으나..
시간 초과로 88점 얻고 실패..
그 뒤로도 5시간 정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노력했지만 실패
나만 어려운가 싶어 결국 해설을 찾아보는데…
실패율 정답률 55%????
내가 이렇게 멍청했나, 얼마나 신박한 해결책일까 해설을 봤지만
핵 간단한 해설 (심지어 내가 푼 방법과 동일..)
결과적으로 언어 문제라고 합니다..
(참고한 블로그.. : https://zeddios.tistory.com/648)
Swift에서 Sort()로 시간초과가 뜨면..C++을 한..다………
자세한 이유는 다음에..(너무 지쳤다)
이상입니다.